티스토리 뷰

오늘은 콜레스테롤에 대해 알아봅시다.

흔히 건강검진을 하면 피검사를 하면서 가장 먼저 보는 수치가 콜레스테롤 수치인데요.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의 세포막을 구성하고 담즙산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물질입니다.

하지만 혈관 건강을 수치로 나타내는 대표적인 물질인데요.

흔히 고밀도 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많이 구분하는데 그 차이점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콜레스테롤의 종류
2. 정상수치
3. 콜레스테롤에 의한 질병
4. 콜레스테롤 조절 방법
 
 

 

1. 콜레스테롤의 종류

 

전체 수치를 나타내는 콜레스테롤이 있으며, 이는 LDL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수치를 가지고 계산을 통해 산출됩니다.

그리고 저밀도 콜레스테롤로 알고 있는 LDL 콜레스테롤이 있습니다.

간에서 만들어진 콜레스테롤을 혈액을 통해 몸의 조직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음식물을 섭취하면 지방 등이 소화되어 분해되지만 우리몸은 남는 영양분을 저장하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이를 간으로 보내 저장하고 합성과정을 거치면서 저밀도 콜레스테롤로 바뀌어 혈관으로 흘러들어가게 됩니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있으며, 동맥 벽에 축척되어 혈액 흐름을 막아 여러가지 혈관 질환을 유발하게 됩니다. 

그리고 HDL 콜레스테롤은 고밀도 콜레스테롤로 "착한 콜레스테롤"로 알려져 있습니다.

LDL 콜레스테롤의 해로운 작용을 상쇄하기 때문에 동시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2. 정상 수치

 

3. 콜레스테롤에 의한 질병

LDL 과다 :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을 높일수 있습니다.

HDL 감소 : 혈관 보호 능력 저하

중성지방 과다 : 지방간, 췌장염,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입니다.

 

4. 콜레스테롤 조절 방법

식이요법과 운동이 가장 중요합니다.

 

▶ 식이요법

피해야할 음식 : 포화지방(적색육류, 버터), 트랜스 지방(과자), 고콜레스테롤(내장류) 식품으로 피해야합니다.

좋은 음식 : 섬유질이 많은 식품(채소, 해조류), 오메가3가 풍부한 생선(고등어, 연어), 불포화지방산(올리브유, 아보카도, 견과류 등)

▶ 운동

주 3~5회, 숨이 차는 유산소운동을 해야합니다. (30분 이상)

 

▶ 약물 치료

필요시 전문가와 상의하여 섭취합니다.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가장 많이 끼치는 콜레스테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특히 LDL 수치가 높으면 혈관 내벽에 침착되어  혈관을 좁히며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수 있습니다.

반대로 HDL 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을 관리하며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수 있습니다.

또한 식이요법과 운동이 병행되면 건강관리에 도움을줄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